1. 원불교는 무엇을 신앙하는 종교인가?
일원상(법신불) 신앙
제2 교의편(敎義編) 제1장 일원상(一圓相) 제2절 일원상의 신앙(一圓相-信仰)
일원상의 진리를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 믿으며, 제불 제성의 심인으로 믿으며,
일체 중생의 본성으로 믿으며, 대소 유무에 분별이 없는 자리로 믿으며, 생멸
거래에 변함이 없는 자리로 믿으며, 선악 업보가 끊어진 자리로 믿으며, 언어
명상이 돈공한 자리로 믿으며, 그 없는 자리에서 공적 영지의 광명을 따라 대소
유무에 분별이 나타나는 것을 믿으며, 선악 업보에 차별이 생겨나는 것을 믿으며,
언어 명상이 완연하여 시방 삼계가 장중에 한 구슬같이 드러나는 것을 믿으며, 진공
묘유의 조화는 우주 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에 은현 자재하는 것을 믿는 것이 곧
일원상의 신앙이니라.
2. 일원상은 어떤 것인가?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것.
제2 교의편(敎義編) 제1장 일원상(一圓相) 제1절 일원상의 진리(一圓相-眞理)
일원(一圓)은 우주 만유의 본원이며, 제불 제성의 심인이며, 일체 중생의 본성이며, 대소 유무(大小有無)에 분별이 없는 자리며, 생멸 거래에 변함이 없는 자리며, 선악 업보가 끊어진 자리며, 언어 명상(言語名相)이 돈공(頓空)한 자리로서 공적 영지(空寂靈知)의 광명을 따라 대소 유무에 분별이 나타나서 선악 업보에 차별이 생겨나며, 언어 명상이 완연하여 시방 삼계(十方三界)가 장중(掌中)에 한 구슬같이 드러나고, 진공 묘유의 조화는 우주 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無始曠劫)에 은현 자재(隱顯自在)하는 것이 곧 일원상의 진리니라.
원 만 [圓 滿]
⑴ 성격이나 인품이 둥글고 너그러워 결함이나 부족함이 없는 것.
⑵ 두 사람의 사이가 좋은 것. 대인관계가 좋은 것.
⑶ 모든 일이 마음에 흡족하게 잘되는 것.
⑷ 원불교에서 진리를 설명하거나 교리를 형용할 때 사용하는 ‘원만’ 개념은 유한한 상대적 차원을 넘어선 ‘절대무루(絶大無漏)’ 또는 ‘완전무결(完全無缺)’의 의미를 포함 할 때가 많다.
《정전》 ‘일원상서원문’에서 “법신불 일원상을 체받아서 심신을 원만하게 수호하는 공부를 하며, 또는 사리를 원만하게 아는 공부를 하며, 또는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한다” 고 할 때의 원만함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 중도의 길을 걷는 원만함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완벽하고 완전한 공부를 말한다.
-출처: 원불교대사전에서-
정전(正典) 제2 교의편(敎義編) 제1장 일원상(一圓相)
제3절 일원상의 수행(一圓相-修行)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는 동시에 수행의 표본을 삼아서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圓滿具足)하고 지공 무사(至公無私)한 각자의 마음을 알자는 것이며, 또는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양성하자는 것이며, 또는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사용하자는 것이 곧 일원상의 수행이니라.
원만 구족(圓滿具足)
지공 무사(至公無私)
일원상진리의 내용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 중의 하나. 궁극적 실재로서의 ‘법신불일원’은 조금도 모자라거나 결함이 없이 모든 것을 두루 갖추어 있되, 그것은 지극히 공평하여 어느 한편으로도 치우침이 없고 털끝만큼의 사사(私邪)가 없다는 뜻. 이는 더 나아가 ‘법신불일원’의 위력을 얻고 그 체성에 합한 경지로서, 불보살의 인격을 묘사하는 말이기도 하다. 또는 ‘법신불일원’의 진리가 인간의 일상생활에 그대로 나타나야 한다는 의미에서, 우리의 육근 동작이 진리와 법도에 맞을 때 쓰는 말이다.
-출처: 원불교대사전에서-
'나의 사랑채 > 교리와 성지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지도보순례 답사길(종곡유숙터~영광) (0) | 2019.05.02 |
---|---|
원불교 개교표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 (0) | 2019.04.29 |
내변산행(종곡유숙터~대불사~도적골~와룡소~가마소삼거리~인장바위~내변산주차장) (0) | 2019.03.03 |
내변산행 (내변산주차장~인장바위~가마소~세봉~내소사) (0) | 2019.03.03 |
원불교 변산제법성지 산행길(봉래정사~정산로~월명암~쌍선봉~봉래구곡)1 (0) | 2019.03.03 |